오늘 포스트의 주제는 세계 각국의 친환경 정부 정책의 후광에 힘입어 주식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친환경과 관련된 회사 소개입니다.
오늘 소개할 회사는 플러그파워입니다. 플러그파워의 회사 영문명은 PLUG POWER이고 티커네임(Ticker name)으로는 PLUG입니다.
플러그파워는 미국 주식시장에서 산업 섹터(Industrials)에 전기장비 및 부품(Electrical Equipment & Parts)산업군에 포함되어 있으며, 플러그파워는 현재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으며, 주식시장에서 현재 회사 가치는 $15.6B 달러로, 한화로 약 17조 여원입니다.
플러그파워는 어떤 회사입니까?
플러그파워는 이동형 또는 고정형 수소연료전지를 개발,제작하는 회사로 1997년에 설립되었으며, 미국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플러그파워는 2001년 나스닥에 상장하였으며, 2010년부터 아마존과 월마트에 지게차용 수소연료전지를 납품하면서 주목을 끌기시작하다가, 2017년에 아마존과 월마트로부터 각각 17%와 23% 지분투자를 받음으로써 일약 미국의 대표적인 수소연료전지 회사로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차세대 청정에너지로 근래에 각광을 받고 있는 수소연료전지 사업분야를 영위하고 있는 플러그파워는 현재 밈구내에서도 아마존이나 홈디포짓, 그리고 월마트등과 함께 조인트벤처를 만들어, 수전해를 통한 수소를 공급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독일이나, 네덜란드등 유럽국가들과도 협업을 통해 수소연료발전 플랜트 제작에 대한 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참고로 플러그파워는 우리나라의 SK그룹이 2021년 1월 플라그파워에 16억달러의 지분투자를 한 기업으로도 유명한 회사인데요. 이렇게 플러그파워가 전 세계로부터 러브콜을 받는 이유는 플러그파워가 세계의 주요 수소연료전지업체 중에서 생산(업스트림), 저장 및 운송(미들스트림), 공급(다운스트림) 기술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유일한 업체로 꼽히고 있기 때문입니다.
플러그파워의 사업 분야는 무엇입니까?
플러그파워의 사업 분야는 아래와 같이 크게 3가지로 구분하여 볼 수있습니다.
1. GenDrive
트럭이나 지게차, 그리고 버스등의 운송 및 수송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이동형 수소연료전지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제품으로 플러그파워를 지금과 같이 수소전지의 대표 회사로 있게한 상품입니다.
2. GenFuel
수소의 생산과 수송, 그리고 저장 등 수소충전 인프라를 담당하고 있는 GenFuel은 수소생산시설로부터 생산된 수소를 액체수소로 변환한 후, 이를 탱크에 옮겨 수소충전소로 운송하고, 이를 수소차량에 충전까지 시킬 수 있는 전반적인 수소운송체인 역할을 담당하는 사업군입니다. 현재 미국 전역에 100여군데의 충전소에서 하루 35톤의 수소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3. ProGen
연료전지 및 연료엔진 상품인 Progen은 경상용차부터 대형트럭 및 버스, 그리고 우주선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수소연료전지를 납품하고자 제작된 제품군으로 경상용차의 경우, 2020년 유럽의 르노자동차와 조인트벤처를 설립하여 올해말인 2021년 '마스터ZE'라는 밴이라고 불리는 경승용차 차량에 플러그파워의 수소연료전지를 탑재하여 2022년부터 판매할 에정입니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본 플러그파워의 ProGen 수소연료전지는 충전시간은 약 5~10분정도이고 1회 충전으로 최대 600Km를 주행할 수 있다고 합니다.
플러그파워의 계획에 따르면 2024년까지 이 같은 수소충전소를 미 전역에 500여곳, 일일 85톤의 수소를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플러그파워의 미래 성장 전략
플러그파워가 지난 해 9월 심포지움에서 발표한 플러그파워의 미래성장전략을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1. 클린 수소 생산 플랜트의 확대
플러그파워의 브룩필드하이드로에셋과의 파트너쉽으로 통해 설립되는 첫 번째 그린수소생산 플랜트에서 매일 약 10톤의 수소를 생산할 예정이며, 향후, 풍력을 통한 재생에너지를 통한 수소생산플랜트를 통해 일일 약 30톤의 수소생산으 하겠다는 블루프린트를 제시하였습니다.
이 같은 전략을 통해 2024년까지 미 전역에 총 5군데의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수소생산플랜트를 건립하고, 여기서 일일 약 100톤(100Ton Per Day)의 수소를 생산하겠다는 계획입니다.
2. 재생에너지 활용을 통한 수전해 기반 액체수소 생산체계 확립
향후, 수소연료기반 트럭/버스등의 운송수단이 늘어남에 따라, 액체수소의 수요가 향후 10년간 열배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플러그파워는 재생에너지와 물을 이용한 수전해 방식으로의 수소생산, 그리고 이를 연료화시키기 위한 고압탱크 제작 및 운송까지 일관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플랜입니다.
3. 기가팩토리를 통한 스택의 대량생산과 원가절감
플러그파워는 올해 초인 2021년 1월 본사가 위치한 뉴욕주에 1억2,500만달러를 투자하여 고분자전해질막(PEM) 기가팩토리를 건립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곳에서는 향후, 수소연료전지의 핵심기술인 막적극전합체(MEA : 산소와 수소의 화학적 반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필름형태 접합체)를 연간 7백만개 생산하여, 연간 6만개 이상의 연료전지스택을 생산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스택의 대량생산이 이루어질 경우, 플러그파워에서는 현재의 스택의 단가를 50%가까이 줄일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플러그파워의 최근 실적은 어떻습니까?
지난 8월 5일에 발표한 플러그파워의 2분기 실적에 따르면, 매출은 약 $ 1억2,460만 달러로 전년 동기의 $ 6,799만 달러대비 75%이상 증가하였습니다. 전 부분에 있어 매출증가가 발생하였는데, 특히, 연료전지시스템 및 관련 인프라부문인 GenDrive가 3,666대가 출하되면서, 해당 부문 매출이 9,930만 달러에 달해 전년 동기대비 약 2배가 늘었습니다.
그리고 전력구매계약으로 인한 매출이 약 $836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연료수송부문에서도 $1,11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그러나 아직 규모의 경제를 갖추지 못한 듯, 총 운영비용이 $ 1억 6,485만달러를 기록하여 $ 4,029만달러의 손실을 기록하였습니다. 손실금액 중 상당금액은 연료전지 판매 및 관련된 인프라 분야가 약 60%가 넘는 $7,990만 달러를 기록하였는데, 현재 공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액화수소 전환 및 수송분야에 대한 투자로 인한 비용증가가 가장 큰 몫을 차지하였습니다.
플러그파워의 최근 주가는 어떻습니까?
아래 사진은 퓨얼셀에너지의 근래 5년 주가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2019~2020년만 해도 주당 $2~3달러 수준이었던 주가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친환경을 기조로한 경제 발전정책이 연달아 발표되면서, 한때 주가가 주당 $60달러 대까지 급격히 상승하였습니다만, 아직 수소연료전지 사업이 초장기인데다가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산업이다보니, 회사실적이 수익으로 전환되지 못한 부분들이 반영되면서 현재 주당 $20달러 부근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오늘은 플러그파워에 대해서 글을 적어보았는데요. 현재 플러그파워의 순익은 마이너스지만, 점차 유럽과 아시아의 파트너십을 확대하여, 트럭분야에서의 자동차 연료전지사업의 사업확장을 노리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적인 산업용 가스업체이자, 액화수소기술을 가진 린데그룹과의 협력을 높이면서 액체수소생산-수송-저장-충전 이라는 공급체인을 선점하려는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수소사업 밸류체인에 대해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플러그파워를 미래 투자 포트로 담아두는 것도 좋은 투자 전략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랫 글도 추천드려요!
2021.08.10 - [해외주식] - 미국 친환경 회사 관련 주식 - ③ 퓨어셀에너지
♠ 본 글은 특정 주식에 대한 견해를 담은 것으로 매수, 혹은 매도를 권유하는 추천 글이 아님을 밝힙니다. 투자는 본인이 결정하고 책임져야 하는 것임만큼, 여러 관점에서 충분히 고려하고 결정하시기를 권고드립니다.
글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구독, 좋아요
한 번씩만 눌러주시면 저에게 큰 힘이 되겠습니다.
(비로그 인도 구독, 좋아요 됩니다~ 마음껏 눌러주세요)
'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LUCIRA HEALTH(NASDAQ: LHDX)루시라헬스 2021년 2분기 실적 Review (0) | 2021.08.14 |
---|---|
WASTE MANAGEMENT (NYSE : WM) 웨이스트 매니지먼트 2021년 2분기 실적 분석 (0) | 2021.08.13 |
미국 친환경 회사 관련 주식 - ③ 퓨얼셀에너지 (0) | 2021.08.10 |
엑세스바이오 자가진단키트 FDA 승인 (0) | 2021.08.04 |
네오크레마 배양육용 세포배양액 개발내용 분석 (0) | 2021.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