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부 병원에서 진료항목 비급여 항목으로 청구하여 본인부담금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전국의 모든 가정들이 의료비 부담 완화를 위해 '실손 보험'들을 많이 가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이러한 사고 혹은 상해 이후 보험사 실손보험 청구를 위해 보험사에 서류들을 제출하기 위해 병원에 여러 서류들을 요청합니다.

 

 치료비를 보험사로부터 돌려받을 때 중요한 내역 중에 하나가 바로 '진료비 세부산정 내역서'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이 바로 비급여 항목인데요. 이 비급여 항목이 포함된 진료를 받으면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어서 본인부담금이 늘어나는 효과를 낳아 결국 진료비 부담이 늘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일부 병원에서는 아래 보도된 기사와 같이 임의로 몇몇의 진료항목을 비급여 처리하여 진료비를 과잉청구하는 사례들도 있다고 합니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434050&ref=A

 

눈 뜨고 코 베인 ‘비급여’ 진료비…환불 받으려면?

[앵커] 병원에서 비급여 진료를 받으면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어 환자의 진료비 부담이 늘어나는데요...

news.kbs.co.kr

 

 

비급여 항목이란?

 

 일반적으로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는 진료항목을 '급여항목'이라고 불리고 반대로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는 진료항목을 '비급여 항목'이라고 불립니다. 

 

 예를 들어 라식이나 라섹 수술과 같은 시력교정술, 일반 진단서 등은 비급여 항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건강보험상의 급여항목에 들어가 있으나, 검사 목적 혹은 급여기준에 따라 비급여로 적용되고 있는 초음파 검사료, MRI 진단료 등도 비급여 항목에 일부 포함됩니다.

 

 

 

 

내가 받은 진료가 비급여 항목인지 확인하는 방법

 

먼저 보험회사에 치료비를 청구하기 위해 병원에 요청하는 서류 중, '진료비 세부산정내역서'가 있어야 합니다. 이 서류를 보면 항목과 코드 그리고 금액 및 여러 정보들이 기재되어 있는데요. 이 중 비급여 항목에 금액이 찍혀있는 항목의 코드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첫째 딸이 작년에 유치가 유착되어 영구치가 나오지 못하는 상황이 생겨서 대학병원에서 수술을 했었는데요. 이때 받은 진료비 세부산정 내역서를 아래와 같이 보관하고 있어서 확인이 가능했답니다.

 

비급여 항목여부를 확인하려면, 진료비 세부산정내역서 서류가 필요합니다.

 

비급여 항목인지 여부를 알기 위해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를 방문합니다. 이 곳에서는 각 코드별로 비급여 항목 여부를 검색할 수 있도록 '비급여진료비확인 자가점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홈페이지 주소는 아래링크를 클릭하면 바로 비급여진료비확인 자가점검 항목으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https://www.hira.or.kr/re/cvapl/rbtasm/list.do?pgmid=HIRAA010002080000

 

비급여진료비확인 자가점검 < 진료비

 

www.hira.or.kr

 

 

 

 상단 화면의 화살표로 표시한 항목란에 진료비 세부산정내역서에 비급여 항목에 대한 코드를 입력하면, 비급여항목인지 여부를 아래 화면과 같이 바로 알았습니다. 

 

저의 경우, 비급여 항목 중 'BM2000JI'이라는 코드를 가진 치료재료대 항목이 있어서, 이 코드로 검색해보았습니다.

진료비 상세내역서 중 비급여항목'BM2000JI'를 선정해봤습니다.

 

 

검색 결과, 아래 사진처럼 이 항목은 비급여 항목으로 제가 환불을 요청할 수 없는 정당하게 청구된 금액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내 주위 병원의 비급여 항목 비용 검색

 

"만약 팔을 다쳐서 병원에서 MRI진단을 받았는데, 진단비가 부풀려진 것은 아닌지 확인하고 싶다면?"

제가 실제로 복숭아뼈쪽에 통증을 느껴 MRI 검진받았던 병원의 사례를 참고하여 MRI 진단비용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 참고로 MRI의 경우는 아래의 경우에 한해서만 건강보험상 급여혜택을 받기 때문에 기타의 경우는 비급여로 전액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서 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아래 링크를 통해 바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https://www.hira.or.kr/re/diag/getNewDiagNondeductibleYadmList.do?pgmid=HIRAA030009020000

 

기관별 현황정보 < 비급여진료비정보 < 진료비

 

www.hira.or.kr

 

아래와 같이 병원의 이름과 비급여진료비 항목을 기입한 후, 하단의 검색버튼을 누르면 제가 진단을 받았던 병원의 진단비용이 제대로 청구되었었는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진단검사명과 병원이름, 그리고 병원 소재지를 선택한 후, 검색버튼을 누릅니다.

 

2. 검색버튼을 누르면 각 진단부위별 MRI 진료 검사비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글봐주셔서 고맙습니다.

구독,좋아요

한 번씩만 눌러주시면 저에게 큰힘이 되겠습니다.

(비로그인도 구독,좋아요됩니다~ 마음껏 눌러주세요)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