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코로나 변이 BF.1
오미크론의 새로운 변이인 BH.7이 중국 내몽골자치구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1주일도 채 되지않은 시점에 다른 지방에서도 검출되는 등 새로운 변이인 BF.1이 확산되고 있다고 합니다.
인터넷매체 'Global Times'에 의하면 지난 9/28일 내몽골자치구 후허하오터라는 곳에서 BF.1 변이가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10/4일에는 총 10건의 양성사례가 검출되었습니다. 이후 일주일 채 지나지 않은 10/10일에는 중국 남부지방의 광둥성의 선전시에서 BF.1이 발견되었으며. 전날인 10/3일의 경우에는 중국 북구 산둥성 옌타이시에서도 BF.1변이 감염사례 1건이 발견되었습니다.
현재까지 밝혀진 중국에서의 BF.1변이에 의한 감염사례는 광둥성 선전시에서 33건, 산둥성 옌타이시에서 10건이 보고되어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BF.1 변이에 대해서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바 조만간 새로운 지배적 변종이 될 것이라고 밝히기도 하였는데요. BF.1변이는 지난 여름 전 세계우세종이었던 BA.5의 하위변이로써 BA.5변이에 비해 면역회피율이 향상되었는데요. 참고로 면역회피능력이 증가했다는 것은 이전에 코로나에 감염되었거나 다른 변이에 코로나에 감염중이더라도 새롭게 BF.7변이에 감염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현재 BF.1변이의 전파상황은
BF.1변이는 현재 앞에서 언급한 중국 뿐만 아니라, 벨기에,독일,프랑스,덴마크, 그리고 영국에서 9월하순경부터 빠르게 확산된 것으로 보고되어있습니다. 특별히 벨기에의 경우네는 현재 BF.7이 전체 신규 코로나 감염사례중 25%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타 독일,프랑스와 같은 유럽권들은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점차 점유율이 올라가고 있는 중입니다. 미국의 경우에는 전체 사례의 약 5%를 차지하고 있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백신접종으로는 코로나 감염을 막을 수 없다.
현재 전 세계에 퍼져있는 코로나 변이는 본 글의 주제인 오미크론 BF.1뿐만 아니라 BQ.1.1, BA.2.75, BA.4.6 등등이 있는데요. 이러한 새로운 오미크론 변이들은 기존 변이인 BA.4와 BA.5에 비해 면역회피능력이 강화되었기 때문에 백신을 접종하였더라도 코로나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러한 계속해서 등장하는 새로운 변이들의 강력한 전염성 능력과 면역회피능력은 전염병 통제와 예방을 더욱더 복잡하게 만드는데, 특히 호흡기질병은 겨울철에 들어 확산세가 더욱 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올해 겨울 역시 감염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코로나 감염으로 인한 후유증의 폐단에 대해서 알츠하이머와 같은 뇌손상과 혈전 등과 같은 순환계 등 체내손상이 보고되고 있는바, 대량 감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겨울철일수록 마스크 착용과 손 소독, 그리고 혼잡한 장소에는 가급적 방문을 자제하는 등의 개인방역 수칙준수가 그 어느때보다 중요합니다.
'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간다 에볼라바이러스 현황 업데이트(~10/27) (0) | 2022.10.27 |
---|---|
코로나 XBB변이와 XBC변이 (0) | 2022.10.22 |
'차트의 기술'정리(10/11) - 기술적 분석의 기본가정 3가지 (1) | 2022.10.11 |
'차트의 기술' 정리 - '기술적 분석'이란 무엇인가?(10/10) (0) | 2022.10.10 |
코로나바이러스가 초항원(Superantigen)이다(?) (2) | 2022.05.17 |